🌱 Infra/Container_ Kubernetes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Step 2 . 컨트롤플레인 설치/구성하기

mini_world 2020. 12. 1. 11:17
목차 접기

제가 구성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도입니다.
여기에서 보면 Control Plane (Manager Node)가 보시시죠?!

 

이번 단게에서는 Control Plane을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개의 노드 중 매니저 노드 하나에서만 실행합니다. 

고고!!

 


 

명령어는 아주 간단합니다.
kubeadm init 이후 옵션값들을 넣어주면 됩니다. 명령어를 실행해봅시다! 공식홈페이지링크

kubeadm init --apiserver-advertise-address=<매니저노드 IP주소> --pod-network-cidr= <파드가 사용할 IP대역>

저는 Manager Node IP주소가 10.0.1.10 입니다. 
이 부분을 환경에 맞춰 IP 변경해서 작성하세요 :)

[root@kube-manager /]# kubeadm init --apiserver-advertise-address=10.0.1.10 --pod-network-cidr=192.168.0.0/16

이렇게 간단하게 컨트롤플레인 설치가 완료 된답니다. 🥳🥳🥳🥳🥳
명령어 실행 결과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그리고, 이 유저에서 클러스터를 시작하기 위해 아래 세개의 명령어를 실행해줍시다.

[root@kube-manager /]# mkdir -p $HOME/.kube
[root@kube-manager /]# sudo cp -i /etc/kubernetes/admin.conf $HOME/.kube/config
[root@kube-manager /]# sudo chown $(id -u):$(id -g) $HOME/.kube/config

마스터 노드에서 해야할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이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중요한건 출력된 내용 중 kubeadm join 이 보이시나요?!
worker node에서 클러스터에 가입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정보니까 잘 복사해둡시다.

한가지 더!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리소스 이름과 ShortName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ubectl api-resources 명령어로요!

[root@kube-manager /]# kubectl api-resources

이 명령어 실행 후 나와있는 리소스 목록을 확인해봅시다.
여기에 nodes를 확인해볼게요!

오! 아주 잘 설정되어있네요, 여기에서 no는 nodes의 줄임말이고, 위의 명령어(kubectl api-resources)를 통해 내용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root@kube-manager /]# kubectl get no

이제 다음단계로 넘어갑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