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fra/Container_ Kubernetes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Step 3 . 워커노드 설치/구성하기

mini_world 2020. 12. 10. 17:14
목차 접기

 

이번 단게에서는 워커 노드를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개의 노드 중 매니저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두 대 (워커노드)에서 진행합니다. 

 

고고!!

 


 

1. kubeadm join 명령어 확인 (선택사항)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Worker 노드가 되기 위해서 Kubeadm join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앞 포스팅에서 컨트롤 플레인을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 kubeadm init 출력 결과에 join할 수 있는 명령어가 출력됩니다. :)

만약 이 명령어를 잃어 버렸다면 다시 확인해야겠죠!!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join 커멘드를 생성합니다.

[root@kube-manager /]# kubeadm token create --print-join-command

출력되는 kubeadm join ~~ 커멘드를 복사 하고 아래 단계를 진행합니다.

 

2. Worker Node 에서 명령어 실행

두 워커노드에서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root@kube-worker01 /]# kubeadm join 10.0.1.10:6443 --token hia3wj.m7hwbitlfg5ygkth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95c3385d64f8c91584a492a736361c40a4b8f81fa6525da986053cd2aea78049 

[root@kube-worker02 /]# kubeadm join 10.0.1.10:6443 --token hia3wj.m7hwbitlfg5ygkth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95c3385d64f8c91584a492a736361c40a4b8f81fa6525da986053cd2aea78049 

이 두개의 워커노드가 클러스터에 잘 join 되었는지 확인해봅시다.

[root@kube-manager /]# kubectl get no

 

여기까지 해서 쿠버네티스를 각 노드에 설치하고, 컨트롤 플레인 & 워커 노드를 설치하는것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

다음 단계로 넘어가서 실습을 진행합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