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all kube 2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Step 3 . 워커노드 설치/구성하기

이번 단게에서는 워커 노드를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개의 노드 중 매니저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두 대 (워커노드)에서 진행합니다. 고고!! 1. kubeadm join 명령어 확인 (선택사항)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Worker 노드가 되기 위해서 Kubeadm join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앞 포스팅에서 컨트롤 플레인을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 kubeadm init 출력 결과에 join할 수 있는 명령어가 출력됩니다. :) 만약 이 명령어를 잃어 버렸다면 다시 확인해야겠죠!!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join 커멘드를 생성합니다. [root@kube-manager /]# kubeadm token create --print-join-command 출력되는 kubeadm join ~~ 커멘드를 복사 하고 아..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Step 1 . 패키지 설치하기

쿠버네티스란 무엇일까요?🤨 한마디로 말해서 "컨테이너를 여러 노드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컨트롤 해주는 오케스트레이션 툴"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노드"란, 하나의 컴퓨터/서버를 지칭합니다. Docker나 Docker Composer는 하나의 노드에서만 사용했었죠, 지금부터는 여러대의 노드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여러가지 개념이 막 나오겠지만, 쿠버네티스는 기본적으로 컨테이너 런타임이 설치 되어있어야 합니다.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의 컨테이너 런 타임은 containerd, CRI-O, Docker 입니다. 저는 Docker 런타임을 설치하도록 합니다. 여기 를 클릭하여 도커 설치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공식문서를 참고하여 Step by Step으로 설치를 보여드리도록 하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