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4

[Linux] Amazon Linux2 EBS볼륨 확장

안녕하세요! 🙋‍♀️ 🙋‍♂️ 이번 포스팅은 EC2의 블록 스토리지(Disk)인 EBS의 볼륨 확장/축소 실습을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OS는 Amazon Linux2이고요! 볼륨 확장과 볼륨 축소는 나누어서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Amazon EC2 의 볼륨 확장은 아주 간단합니다. 콘솔상에서 EBS의 크기를 줄이고, 파일시스템에서 확장해주면 됩니다 👍🏻 시작해볼까요! 1. 콘솔에서 EBS 크기 수정 먼저, Amazon EC2 콘솔을 확인하겠습니다. 저는 "[EBS Test] Amazon Linux2" 라는 이름의 인스턴스의 EBS볼륨을 확장할 예정입니다. 볼륨을 확장할 인스턴스를 클릭하고, 아래 "스토리지"를 클릭합니다. 이렇게 하면, 이 인스턴스의 스토리지 설정 및 EBS 볼륨 ID까지 확인이 가능..

[MySQL 8.0] Nodejs 연동 시 에러 "Client does not support authentication protocol requested by server; consider upgrading MySQL client"

야무지게 설치하고 Nodejs와 연동하려고 하니까 바로 뙇 에러가 나오네요...😭😭😭😭😂 1. 샘플 코드 사용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예제 링크) // test-mysql.js 파일 var mysql = require('mysql'); var connection = mysql.createConnection({ host : 'host-IP', user : 'root', password : 'Xptmxm1212!@', database : 'my-Database' }); connection.connect(); connection.query('select * from sample_table', function (error, results, fields) { if (error){ console.log(err..

[MySQL 8.0] MySQL 유저 원격접속 허용하기

안녕하세요 🙋 🙋‍♀️ MySQL을 처음 설치하고, 외부에서 접속해보려고 하면 이런 에러가 나옵니다. mysql -h -u root -p MySQL은 기본적으로 로컬(Localhost)에서만 접속이 허용됩니다. MySQL 사용자를 살펴볼까요? mysql> SELECT Host,User,plugin,authentication_string FROM mysql.user; 유저가 다 "localhost"로 표시되어있습니다. 이 경우, 외부에서부터의 접속이 불가능 합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서는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계정을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 주의 * 이번 포스팅에서는 Root계정을 변경하지만, 보안 상 Root계정 외 별도의 계정을 만들어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먼저, 사용자를 생성합니다 :..

[MySQL 8.0] CentOS7에 MySQL 8.0설치하기

안녕하세요 🙋‍♀️ 🙋‍♂️ !!! 이번 포스팅에서는 mysql 8.0 버전을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 저는 AmazonEC2 CentOS7을 사용했습니다!!! 1. MySQL 설치 다운로드 링크 확인 MySQL Commucity 버전으로 다운받기 위해서 아래 링크로 접속하세요! 설치 시점에 따라 최신 버전이 다르므로 설치하실때 아래 순서에 따라 설치 링크를 받아주시는게 좋아요 :) www.mysql.com/products/community/ MySQL :: MySQL Community Edition MySQL Community Edition MySQL Community Edition is the freely downloadable version of the world's most popular open..

Hadoop 하둡! 한번 사용해보기

이 포스팅은 이전포스팅과 이어집니다 :) 자! 지금까지 아래 그림처럼 우리는 Master 한대와 Slave 세대를 이용해서 하둡클러스터를 만들었습니다. 👍🏻👍🏻 이제부터는 우리가 만들어놓은 이 하둡 클러스터를 활용해보려고 합니다. 😏 Hadoop? HDFS? 뭐가 다른가? 하둡 클러스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제 알아보려고 하는데, 그 전에 의아한 부분이 있습니다. hadoop과 hdfs는 뭐가 다른걸까요? 더보기 하둡이란? 대량의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는 "프리웨어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입니다. Apache Hadoop Framework에서는 아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하둡 커먼(Hadoop Common) -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HDFS) - 스토리지 ..

Hadoop 하둡(2.10.1)! 무작정 따라하기 #2

이 포스팅은 이전포스팅과 이어집니다 :) 지금까지 하나의 노드에 Java와 하둡을 설치하고, 하둡 설정파일을 수정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노드에 맞게 설정을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1. Master서버 설정 이번 단계에서는 Master 서버의 설정을 변경합니다 :) 더보기 Master 서버에 SSH로 접속합니다. 1) Hostname 변경 hostnamectl 명령어를 통해 호스트 이름을 변경합니다.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master.hadoop 2) /etc/hosts 파일 수정 hosts파일을 수정합니다. hosts 파일을 수정하기 전, EC2콘솔에서 각 인스턴스의 프라이빗IP주소를 알아둡니다 :) sudo vi /etc/hosts 172.31.3.145 ..

Hadoop 하둡(2.10.1)! 무작정 따라하기 #1

안녕하세요 🙋‍♀️ 🙋‍♂️ 이번에 하둡에코시스템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내용 정리하면서, 나중에 또 까먹을 미래의 나를 위해!! 포스팅 합니다. 하하 저는 AWS 의 EC2를 사용할 예정이므로, 모든 절차에 다 EC2를 사용합니다 :) 모든 단계는 공식사이트를 기준으로 작성 되었으며, 최종 아키텍쳐는 1개의 마스터노드, 3개의 슬레이브노드로 구성될 예정입니다 :) 시작해보겠습니다. 1. EC2 생성하기 이번 단계에서는 EC2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OS는 리눅스 CentOS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꼭 AWS가 아니더라도 사용할수 있는 리눅스 서버(가상서버) 4대를 준비해주세요! 이번 단계에서는 그중에 하나를 마스터 서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 더보기 AWS 웹 콘솔에 접속한 후 EC2서비스..

[AWS CodeStar] 개요

AWS CodeStar란 ? 모든 서비스를 묶어서 데브옵스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운영 도구! - 다양한 프로젝트 탬플릿 제공 : 언어별/ 프레임워크별/ 배포 방법별 - 프로젝트 팀원 관리 : AWS IAM을 통한 구성원 및 권한 관리 - 외부 확장 기능 제공 : 이슈관리 트래킹(JIRA), 소통채널 등 외부 서비스 연동 가능 - 자동화된 배포 과정 : CodePipeline을 통한 개발 및 배포 관리 지원 - 통합 모니터링 대시보드 : CloudWatch 연동 AWS Code Star 기능 1 : Project Team - 프로젝트 역할(Role) : Owner/Contributor/Viewer - Owner: 전체 권한 (팀원 및 확장 기능 관리) - Contributor: 일부권한..

[AWS CI/CD] 개요

[Step1. Source] AWS CodeCommit - 완전관리형 Git코드 저장소 - Amazon S3에 객체 저장 (높은 내구성 및 가용성) - DynamoDB에 인덱스 저장 (빠른 속도) - KMS를 통한 코드 암호화 및 IAM 기반 인증 - 최초 5명 까지 무제한 레포지토리 (50GB용량, 월 1만건) - 5명 이후 1명 추가 시 사용자 당 월 1달러 [Step2. Build] AWS CodeBuild - 완전관리형 빌드 서비스 - Android, Java, Python, Ruby, Go, Node.JS, Docker Runtime 지원 (S3에 아티팩트 생성) - Docker Image 생성 가능 (ECR에 배포) - Jenkins 플러그인 지원 (마스터 워커 사용) - buildspec.y..

CI/CD 개요

* 일반적인 개발 과정 단계 1. Source - 소스코드 커밋 - 소스코드 상호 검토 2. Build - 코드 컴파일 - 펑션 단위의 유닛 테스트 - 스타일 검증 - 빌드 테스트 - 컨테이너 이미지 제작 3. Test - 타 시스템과 통합 테스트 - 부하 테스트 - UI 테스트 - 침투 테스트 (보안 문제 확인) 4. Production - 프로덕션 환경으로 배포 * DevOps 개발 프로세스 개념 - 참고 URL : www.redhat.com/ko/topics/devops/what-is-ci-cd CI/CD(지속적 통합/지속적 제공): 개념, 방법, 장점, 구현 과정 CI/CD는 애플리케이션의 통합 및 테스트부터 제공 및 배포까지 전체 라이프사이클에서 지속적인 자동화와 모니터링을 제공합니다. 개념, ..

🍒 일상 2021.02.0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