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9

[Django #2] Django 설치하기 -EC2 - Amazon Linux2

안녕하세요 🙋‍♀️ 🙋‍♂️ 이번 포스팅에서는 Amazon EC2 (Amazon Linux2)를 이용해서 Django를 설치하고 기본 페이지를 띄워 볼 예정입니다. Amazon EC2 프리티어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Amazon EC2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별도로 다루지 않습니다! 아래 캡쳐 사진과 같이, 이미 테스트 용도의 EC2를 생성했으며, SSH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이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시작합니다. ● Django 프레임워크 설치 더보기 Django는 Python 웹 프레임워크 입니다. Django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Python이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 2021-01-12(화) 오늘 기준으로 Djaogo 3.1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Python 3.6, 3..

[Django #1] Django란 무엇인가, 기본 개념 익히기

안녕하세요!🙋🙋‍♀️ 초보를 위한 (즉, 나 스스로를 위한..ㅠㅠ) Django!! 시리즈를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먼저 이 시리즈를 시작하기 전에, 개념부터 하나씩 이해해 보려고 합니다. Django란? Django 공식홈페이지에서도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Python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 워크 입니다. 다른 프레임워크에 비해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인기가 많고 Python 을 기반으로 하기때문에 Python을 잘 알고있는 사람에게는 쉽게 시작할 수 있겠죠! (Python 언어 자체도 초보자가 배우기는 쉽습니다.) Django는 동적 웹사이트를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동적 웹사이트란,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이 베이스이기 때문에 사용자UI, 데이터베이스 구성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HTTP Request Parameters 타입 / HTTP 요청 파라메터 종류!

HTTP Request 파라메터의 종류 😁 1. Path 파라메터 URL path 경로의 일부로 파라메터를 사용합니다. www.example.info/user/{user-name}/score 2. ≈ URL ? 뒤에 등장합니다. 이렇게 정의되는 경우 AWS CloudFront+Lambda 엣지 사용 가능합니다. www.example.info/user?user-name=A 3. Request Body 파라메터 Post 방식의 Request Parameter이며, 요청 내용을 바디에 넣어 보내기때문에 URL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4. Header 파라메터 인증과 권한부여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인증과 관련된 서비스에서 헤더 파라메터에 대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D

EC2 인스턴스 태그로 Start/Stop 스케줄링 하자! with Lambda

안녕하세요 🙋‍♀️ 🙋‍♂️!! 인스턴스를 항상 켜놓지 않아도 되는 경우, 업무시간에만 사용하는 경우! 스케줄링을 통해 인스턴스 사용 시간을 줄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AWS knowledge center에 글이 있지만, (start-stop-lambda-cloudwatch) 인스턴스 태그 기반은 아니에요 :) 저는 Test라는 이름을 가진 인스턴스를 5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인스턴스는 auto-schedule 태그를 가지고 있으며, 이중에 4개가 True, 1대가 False입니다. 인스턴스 태그 기반으로, auto-schedule 값이 True인 인스턴스만 시작 & 종료하도록 합니다. 업무할 시간 동안 (월~금 9 to 6) 인스턴스가 켜져있도록 해봅시다! 아래 순서에 따라 진행 합니..

[CentOS 8] EC2에 Session Record with Cockpit 설정하기 :)

안녕하세요! 오늘은 Amazon EC2 Centos 8 을 설치하고, 세션 레코딩 기능을 확인해볼 예정입니다. ;) SSH접속을 전부 녹화할수 있는 기능이에요!!!! 처음부터 따라할 수 있도록 Amazon EC2 설치부터 차근히 스탭스탭 따라해봅시다! 여기에서 Cockpit-Session Recording 공식 문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Amazon EC2 생성하기 인스턴스 생성 단계입니다. Amazon EC2 운영 경험이 있다면 이 부분은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 여기에서 생성하는 Amazon EC2 (CentOS8) 인스턴스는 기본 VPC에 설치되며, 네트워크 및 보안 설정에 대한 내용은 다루지 않습니다. 더보기 먼저, 이번 단계에서는 Amazon EC2를 생성합니다. AWS EC2 콘솔에서 ..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Step 5 . Kube DashBoard 웹UI 설치하기 :)

쿠버네티스 웹 대시보드 UI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쿠버네티스는 기본적으로 UI를 함께 배포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별도로 배포해주셔야 합니다. 여기에서 공식 문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지금부터 대시보드 UI 배포를 진행해봅시다. 1. DashBoard 오브젝트 생성 아래 명령어로 Kubernetes DashBoard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합니다. apply 명령어로 다운받아 실행하게 되면 외부에서 접속할수 없기때문에, 다운로드받은 후 ymal파일을 조금 수정해야 합니다. [root@kube-manager /]#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0.0/aio/deploy/recommended.yaml 다운받은 후 내용을 조금 ..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Step 4 . Calico & kubens 설치

이번 단계에서는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플러그인의 종류중 하나인 Calico 설치와, 네임스페이스 변경 스크립트인 kubens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두개 모두 Manager Node에서만 설치하면 됩니다. 1. Network Policy Provider - Calico 설치 아래 더보기를 클릭하여 확인하세요🥳 더보기 Calico 쿠버네티스의 네트워크 플러그인입니다. 여기에서 클러스터 네트워킹에 대한 내용과 서비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설치는 간단합니다. 먼저, MasterNode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root@kube-manager /]# kubectl apply -f https://docs.projectcalico.org/manifests/calico.yaml 설치가 완..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Step 3 . 워커노드 설치/구성하기

이번 단게에서는 워커 노드를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개의 노드 중 매니저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두 대 (워커노드)에서 진행합니다. 고고!! 1. kubeadm join 명령어 확인 (선택사항)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Worker 노드가 되기 위해서 Kubeadm join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앞 포스팅에서 컨트롤 플레인을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 kubeadm init 출력 결과에 join할 수 있는 명령어가 출력됩니다. :) 만약 이 명령어를 잃어 버렸다면 다시 확인해야겠죠!!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join 커멘드를 생성합니다. [root@kube-manager /]# kubeadm token create --print-join-command 출력되는 kubeadm join ~~ 커멘드를 복사 하고 아..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Step 2 . 컨트롤플레인 설치/구성하기

제가 구성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도입니다. 여기에서 보면 Control Plane (Manager Node)가 보시시죠?! 이번 단게에서는 Control Plane을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개의 노드 중 매니저 노드 하나에서만 실행합니다. 고고!! 명령어는 아주 간단합니다. kubeadm init 이후 옵션값들을 넣어주면 됩니다. 명령어를 실행해봅시다! 공식홈페이지링크 kubeadm init --apiserver-advertise-address= --pod-network-cidr= 저는 Manager Node IP주소가 10.0.1.10 입니다. 이 부분을 환경에 맞춰 IP 변경해서 작성하세요 :) [root@kube-manager /]# kubeadm init --apiserver-adverti..

[쿠버네티스 무작정 따라하기] Step 1 . 패키지 설치하기

쿠버네티스란 무엇일까요?🤨 한마디로 말해서 "컨테이너를 여러 노드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컨트롤 해주는 오케스트레이션 툴"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노드"란, 하나의 컴퓨터/서버를 지칭합니다. Docker나 Docker Composer는 하나의 노드에서만 사용했었죠, 지금부터는 여러대의 노드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여러가지 개념이 막 나오겠지만, 쿠버네티스는 기본적으로 컨테이너 런타임이 설치 되어있어야 합니다.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의 컨테이너 런 타임은 containerd, CRI-O, Docker 입니다. 저는 Docker 런타임을 설치하도록 합니다. 여기 를 클릭하여 도커 설치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공식문서를 참고하여 Step by Step으로 설치를 보여드리도록 하겠..

728x90